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화산재 대응방법
- 백두산 화산활동
- 오우무아무아 혜성
- 지구의 위성 달
- 미세먼지 관측위성
- 열대 지역
- 인터스텔라 혜성
- 누질랜드 화이트 화산
- 창어4호
- 해들러 순환
- 필리핀 공무원
- 자기장 역전 현상
- 달의 공전
- 겨울
- 성간천체
- 달의 자전
- 태양의 자전
- 달 뒷 표면
- 따듯한 겨울
- 보리소프 혜성
- 필리핀 화산폭발
- 지구온난화
- 최초 달 뒷표면 탐사
- 기아나 우주센터
- 화산재 벽돌
- 온실가스 상승
- 눈
- 필리핀 탈 화산
- 미세먼지 농도
- 아열대 지역
- Today
- Total
목록눈 (2)
단 2분
안녕하세요. 지구과학이 좋아 지구과학을 기록하는 블로그 구구쓰입니다. 요즘 한파 때문에 타이츠를 입지 않으면 날씨가 매우 추운 겨울 날씨입니다. 오늘은 겨울 하면 떠오르는 내리는 눈에 대해 포스팅을 할 예정인데요. 평소 대략적으로 알고 있는 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자 준비하였습니다. 그럼 포스팅을 시작할게요. 먼저, 눈은 구름 안에 물방울이 얼어 결정화된 것이라는 사전적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눈의 생성은 앞에 화이트 크리스마스 포스팅 글에서 언급한 것처럼 수증기로 구성이 된 구름 안에 미세한 물질들이 핵의 역할을 하여 물방울을 모이게 합니다. 이렇게 모이게 된 물방울들은 점차 부피가 커지고 무거워져 지구중력에 의해 지상으로 내려가게 되는데요. 이때 주변 대기온도가 낮으면 물방을 얼어, 눈 결정체 모..
안녕하세요. 지구과학이 좋아 지구과학을 기록하는 블로그 구구쓰입니다. 이제 크리스마스도 약 한 달 채 남지 안았는데요. 오늘은 크리스마스와 관련된 지구과학 이야기들을 나누어 보고자 글을 준비해보았습니다. 크리스마스는 성탄절로 불려지며, 12월 25일 휴일이면서 기념일입니다. 또한 많은 사람들에게 12월 24일은 크리스마스 이브라고 알려지는데요. 크리스마스 이브는 전날 일몰부터 다음 날 일몰까지를 하루로 쳤던 초대 그리스도교의 문화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보통 크리스마스라고 하면 크리스마스 장식과 산타클로스가 많이 생각나는데요. 대표적인 장식품이라고 하면 크리스마스 트리가 많이 생각납니다. 크리스마스 트리는 이탈리아, 프랑스, 등 이 지역에서 교회 앞 높이 세워진 나무라고 알려지며, 이후 집집마다 푸른 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