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온실가스 상승
- 필리핀 화산폭발
- 기아나 우주센터
- 달 뒷 표면
- 화산재 벽돌
- 달의 공전
- 화산재 대응방법
- 백두산 화산활동
- 달의 자전
- 해들러 순환
- 필리핀 탈 화산
- 보리소프 혜성
- 누질랜드 화이트 화산
- 열대 지역
- 겨울
- 자기장 역전 현상
- 따듯한 겨울
- 인터스텔라 혜성
- 지구의 위성 달
- 태양의 자전
- 오우무아무아 혜성
- 최초 달 뒷표면 탐사
- 창어4호
- 지구온난화
- 미세먼지 관측위성
- 아열대 지역
- 미세먼지 농도
- 성간천체
- 필리핀 공무원
- 눈
- Today
- Total
목록따듯한 겨울 (3)
단 2분
안녕하세요. 지구과학이 좋아 지구과학을 기록하는 블로그 구구쓰입니다. 최근 겨울인데도 불구하고 이상고온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데요. 이러한 이상고온 현상으로 인해 지난 7일 제주도 한 겨울 온도가 약 24도까지 올라가는 기이한 현상이 일어나기도 하였습니다. 또한 이러한 따듯한 겨울 날씨로 120mm의 겨울 폭우 내렸는데요. 그래서 오늘 이러한 따듯한 날씨, 겨울 폭우 등의 기이한 현상으로 보이는 겨울철 이상기후에 대한 글을 준비해보았습니다. 겨울철 이상기후는 이상 고온현상으로 설명할 수 있는데요. 이상고온이란 시기에 맞지 않게 기온이 다른 해 보다 유난히 높게 나타나는 현상을 말하죠. 여기서 말하는 시기란 가을철부터 봄까지 이르는 시기를 말합니다. 특히 이번 겨울철 이상고온 현상처럼 이전에 비슷한 현상들이..
안녕하세요. 지구과학이 좋아 지구과학을 기록하는 블로그 구구쓰입니다. 요즘 한파 때문에 타이츠를 입지 않으면 날씨가 매우 추운 겨울 날씨입니다. 오늘은 겨울 하면 떠오르는 내리는 눈에 대해 포스팅을 할 예정인데요. 평소 대략적으로 알고 있는 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자 준비하였습니다. 그럼 포스팅을 시작할게요. 먼저, 눈은 구름 안에 물방울이 얼어 결정화된 것이라는 사전적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눈의 생성은 앞에 화이트 크리스마스 포스팅 글에서 언급한 것처럼 수증기로 구성이 된 구름 안에 미세한 물질들이 핵의 역할을 하여 물방울을 모이게 합니다. 이렇게 모이게 된 물방울들은 점차 부피가 커지고 무거워져 지구중력에 의해 지상으로 내려가게 되는데요. 이때 주변 대기온도가 낮으면 물방을 얼어, 눈 결정체 모..
안녕하세요. 별을 좋아하는 블로그 구구쓰입니다. 요즘 날씨가 너무 춥네요. 그래서 오늘은 특별히 겨울에 대한 글을 준비해보았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겨울 하면 아침에 눈뜨기 힘든 계절, 이불속이 좋은 계절로 생각하는데요. 저 또한 이불 밖을 나가기 싫어지는 요즘이네요. 그럼 바로 겨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죠. 겨울은 사계절 중 네 번째 계절로서 12~2월까지의 기간을 말합니다. 또한 음력으로는 11월부터 1월까지의 기간을 말하기도 하죠. 겨울이 추운 이유는 태양의 남중 고도가 제일 낮아 기온이 낮기 때문입니다. 겨울은 밤에 별들이 가장 잘 보이는 계절이기도 합니다. 이유는 겨울의 공기가 맑아서가 아니라 가장 밝은 별들이 겨울에만 볼 수 있기 때문이죠. 사람들은 이러한 이유로 겨울에 화려하게 보이는 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