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지구의 위성 달
- 백두산 화산활동
- 필리핀 탈 화산
- 해들러 순환
- 따듯한 겨울
- 누질랜드 화이트 화산
- 화산재 벽돌
- 달의 공전
- 겨울
- 인터스텔라 혜성
- 최초 달 뒷표면 탐사
- 온실가스 상승
- 미세먼지 관측위성
- 열대 지역
- 지구온난화
- 보리소프 혜성
- 기아나 우주센터
- 자기장 역전 현상
- 미세먼지 농도
- 아열대 지역
- 성간천체
- 창어4호
- 오우무아무아 혜성
- 필리핀 화산폭발
- 태양의 자전
- 눈
- 필리핀 공무원
- 달의 자전
- 달 뒷 표면
- 화산재 대응방법
- Today
- Total
목록지구온난화 (2)
단 2분
안녕하세요. 지구과학이 좋아 지구과학을 기록하는 블로그 구구쓰입니다. 오늘은 이상기후 현상의 원인으로 꼽히는 지구온난화에 대한 글을 써 보려고 하는데요. 지난 1월 14일, 기초과학연구원 팀머만 단장 연구팀이 아열대 지역의 온실가스가 열대지역 해수면의 온도 상승에 기여하는 역할을 한다고 연구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이 발표는 열대지역 해수면 온도 상승의 통계자료를 근거로 설명하고 하는데요. 발표에 따르면, 지난 50년 동안 지구 전체의 평균 해수면 온도가 0.55도 오르는 동안에 열대 지역 온도는 약 0.71도 올랐다고 알려집니다. 오늘 이 발표에 대한 내용을 좀 더 알아보기 위해 아열대지역, 열대지역에 대해 간단히 알아본 후, 아열대지역의 온실가스 증가가 어떻게 열대지역 해수면의 온도를 높이는지에 대해 ..
안녕하세요. 지구과학이 좋아 지구과학을 기록하는 블로그 구구쓰입니다. 최근 겨울인데도 불구하고 이상고온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데요. 이러한 이상고온 현상으로 인해 지난 7일 제주도 한 겨울 온도가 약 24도까지 올라가는 기이한 현상이 일어나기도 하였습니다. 또한 이러한 따듯한 겨울 날씨로 120mm의 겨울 폭우 내렸는데요. 그래서 오늘 이러한 따듯한 날씨, 겨울 폭우 등의 기이한 현상으로 보이는 겨울철 이상기후에 대한 글을 준비해보았습니다. 겨울철 이상기후는 이상 고온현상으로 설명할 수 있는데요. 이상고온이란 시기에 맞지 않게 기온이 다른 해 보다 유난히 높게 나타나는 현상을 말하죠. 여기서 말하는 시기란 가을철부터 봄까지 이르는 시기를 말합니다. 특히 이번 겨울철 이상고온 현상처럼 이전에 비슷한 현상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