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 2분

아열대 지역 온실가스 상승과 열대지역 온도상승, 해들러 순환은 무엇인가? 본문

지구과학/지구과학

아열대 지역 온실가스 상승과 열대지역 온도상승, 해들러 순환은 무엇인가?

구구쓰 2020. 1. 23. 23:11

안녕하세요. 지구과학이 좋아 지구과학을 기록하는 블로그 구구쓰입니다. 오늘은 이상기후 현상의 원인으로 꼽히는 지구온난화에 대한 글을 써 보려고 하는데요. 지난 1월 14일, 기초과학연구원 팀머만 단장 연구팀이 아열대 지역의 온실가스가 열대지역 해수면의 온도 상승에 기여하는 역할을 한다고 연구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이 발표는 열대지역 해수면 온도 상승의 통계자료를 근거로 설명하고 하는데요. 발표에 따르면, 지난 50년 동안 지구 전체의 평균 해수면 온도가 0.55도 오르는 동안에 열대 지역 온도는 약 0.71도 올랐다고 알려집니다. 오늘 이 발표에 대한 내용을 좀 더 알아보기 위해 아열대지역, 열대지역에 대해 간단히 알아본 후, 아열대지역의 온실가스 증가가 어떻게 열대지역 해수면의 온도를 높이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아열대지역은 열대지역 주변에서 나타는 나는 기후 지역을 말하는데요. 아열대지역은 주로 남회귀선과 북회귀선 일대에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아열대지역은 어느 지정된 구역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데요. 열대지역이라도 해도 고도가 높을 때 아열대 기후가 되기도 합니다. 아열대지역은 월평균 기온이 섭씨 10도 이상인 달이 1년 기준으로 8달 이상이고, 가장 춥다고 느껴지는 달의 평균기온이 18도 이하인 지역을 말합니다. 아열대지역에는 강수량이 적은 지역도 있지만, 연 강수량이 2000mm 이상인 지역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은 온대기후 지역이라고 구분이 되는데요. 하지만, 대한민국의 남해안, 제주도 등과 같은 경우 연평균 기온이 섭씨 10도가 넘어가는 달이 8달이 넘어가 아열대 기후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아열대지역은 열대지역 주변에 있는데요. 주로 열대지역은 동남아시아,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 중앙아메리카, 호주 북부 등 일부 지역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열대지역은 대부분 적도 주변에 분포하고 있는데요. 이 지역은 1년 내내 여름인 기후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열대지역은 추워도 18도 이상의 평균기온을 가지고 있는데요. 또한 이 지역에는 엄청난 양의 비가 내려 열대지역에는 열대우림 이 발달하였습니다. 열대우림의 나무들은 뿌리가 깊은 편이 아닌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요. 이러한 이유로 떨어진 낙엽에서 직접 양분을 흡수하고 있습니다. 열대지역은 높은 강수량과 높은 온도의 특징을 가지고 있어 이 지역에 토양들은 분해하는 속도가 빨라 대체로 열대지역 토양이 척박한 편이라고 환경전문가들은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나무가 다 잘린 땅에 더 이상 양분이 없어 나무를 심을 수 없게 됩니다. 열대지역은 해들리 순환이라고 알려지는 대규모 대기 순환을 통해 아열대 지역과 연결이 되어있습니다. 해들리 순환의 무역풍이 비교적 차가운 아열대 지역의 대기를 열대지역으로 옮기고, 또한 무역풍이 열대지역의 바다 깊은 곳에서 차가운 해수를 끌어올려 열대 지역의 온도를 낮추고 있습니다. 기초과학연구원은 아열대 지역의 온실가스 상승이 열대지역 온도 상승이라는 문제를 실험을 통해 설명하였는데요. 아열대 지역이 온실가스 증가로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적도와 아열대 사이에 온도차가 줄어들어 해들리 순환이 악화됨을 확인하였습니다. 이에 무역풍에 의한 차가운 해수 상승 현상이 줄어들고, 열대 해수면 온도가 상승하여 열대지역의 해수면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었죠. 기초과학연구원 과학자들은 아열대 기후의 온실가스 상승이 아열대 지역 해수면 온도 상승이라는 결과를 낳는 것에 대해 지구온난화의 심각성을 현재도 설명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아열대 지역, 열대지역, 그리고 아열대 지역의 온실가스 상승이 열대지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았는데요. 현재 지구 전체에 지구온난화로 사고 사건들이 빈번히 일어나고 있습니다. 저 구구쓰도 지구온난화의 심각성을 알고 지구를 좀 더 알아갈 수 있도록 꾸준히 노력해 나가겠습니다. 늘 좋은 정보로 여러분께 알려드리는 구구쓰가 되겠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감기 조심하세요.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