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달의 자전
- 태양의 자전
- 눈
- 따듯한 겨울
- 해들러 순환
- 누질랜드 화이트 화산
- 성간천체
- 오우무아무아 혜성
- 지구온난화
- 필리핀 탈 화산
- 필리핀 공무원
- 달 뒷 표면
- 열대 지역
- 아열대 지역
- 미세먼지 관측위성
- 지구의 위성 달
- 기아나 우주센터
- 겨울
- 화산재 대응방법
- 창어4호
- 최초 달 뒷표면 탐사
- 보리소프 혜성
- 달의 공전
- 필리핀 화산폭발
- 백두산 화산활동
- 온실가스 상승
- 인터스텔라 혜성
- 화산재 벽돌
- 자기장 역전 현상
- 미세먼지 농도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눈의종류 (1)
단 2분
눈, 눈의 생성, 눈의 결정, 눈의종류, 눈의 피해, 눈의 장점
안녕하세요. 지구과학이 좋아 지구과학을 기록하는 블로그 구구쓰입니다. 요즘 한파 때문에 타이츠를 입지 않으면 날씨가 매우 추운 겨울 날씨입니다. 오늘은 겨울 하면 떠오르는 내리는 눈에 대해 포스팅을 할 예정인데요. 평소 대략적으로 알고 있는 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자 준비하였습니다. 그럼 포스팅을 시작할게요. 먼저, 눈은 구름 안에 물방울이 얼어 결정화된 것이라는 사전적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눈의 생성은 앞에 화이트 크리스마스 포스팅 글에서 언급한 것처럼 수증기로 구성이 된 구름 안에 미세한 물질들이 핵의 역할을 하여 물방울을 모이게 합니다. 이렇게 모이게 된 물방울들은 점차 부피가 커지고 무거워져 지구중력에 의해 지상으로 내려가게 되는데요. 이때 주변 대기온도가 낮으면 물방을 얼어, 눈 결정체 모..
지구과학/지구과학
2019. 12. 9. 2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