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달의 공전
- 최초 달 뒷표면 탐사
- 태양의 자전
- 창어4호
- 자기장 역전 현상
- 미세먼지 농도
- 필리핀 탈 화산
- 눈
- 열대 지역
- 누질랜드 화이트 화산
- 겨울
- 달 뒷 표면
- 기아나 우주센터
- 지구온난화
- 보리소프 혜성
- 해들러 순환
- 지구의 위성 달
- 성간천체
- 필리핀 화산폭발
- 온실가스 상승
- 오우무아무아 혜성
- 화산재 대응방법
- 달의 자전
- 아열대 지역
- 인터스텔라 혜성
- 화산재 벽돌
- 백두산 화산활동
- 필리핀 공무원
- 미세먼지 관측위성
- 따듯한 겨울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우주쇼 (1)
단 2분
우주쇼의 해 2020년, 별똥별 유성우가 기대되는 해, 유성우에 대해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지구과학이 좋아 지구과학을 기록하는 블로그 구구쓰입니다. 얼마 전 1월 초 밤하늘에 별똥별이 떨어지는 일이 있었는데요. 오늘은 별똥별이라고 불리어지는 유성우에 대한 글을 준비하였습니다. 유성우는 어느 특정한 시기에 하늘에서 유성이 많이 떨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때 유성이라는 의미는 지구 대기권을 빠른 속도로 돌입하여 마찰에 의한 밝은 빛의 줄기가 생기는 현상을 말합니다. 유성우의 원인으로 혜성이 꼽히는데요. 혜성은 태양 가까이 통과하면서 태양풍에 영향을 받아 물질이 증발하여 대량의 파편을 우주공간에 남깁니다. 이러한 대량의 파편으로 이루어진 공간을 지구가 공전을 하면서 지나가게 되는데요. 이때 여러 조각의 파편들이 지구로 떨어지다가 지구의 대기에 영향으로 마찰이 생겨 유성이 생기게 됩니다..
지구과학/지구과학
2020. 1. 18. 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