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필리핀 공무원
- 필리핀 탈 화산
- 미세먼지 관측위성
- 화산재 벽돌
- 따듯한 겨울
- 지구의 위성 달
- 온실가스 상승
- 자기장 역전 현상
- 백두산 화산활동
- 달의 공전
- 필리핀 화산폭발
- 성간천체
- 달의 자전
- 오우무아무아 혜성
- 기아나 우주센터
- 지구온난화
- 누질랜드 화이트 화산
- 눈
- 달 뒷 표면
- 겨울
- 인터스텔라 혜성
- 미세먼지 농도
- 화산재 대응방법
- 보리소프 혜성
- 창어4호
- 아열대 지역
- 해들러 순환
- 태양의 자전
- 최초 달 뒷표면 탐사
- 열대 지역
Archives
- Today
- Total
단 2분
태양계 일곱 번 째 행성 천왕성, 천왕성의 크기, 천왕성의 고리, 천왕성의 대기, 천왕성의 자전, 천왕성의 공전, 천왕성의 위성 본문
지구과학/지구과학
태양계 일곱 번 째 행성 천왕성, 천왕성의 크기, 천왕성의 고리, 천왕성의 대기, 천왕성의 자전, 천왕성의 공전, 천왕성의 위성
구구쓰 2020. 1. 10. 12:08안녕하세요. 지구과학이 좋아 지구과학을 기록하는 블로그 구구쓰입니다. 오늘은 지난 포스팅에서 언급했던 태양계의 일곱 번째 행성 천왕성에 대한 글을 준비해보았습니다. 천왕성은 토성의 궤도 밖 바로 토성 다음 행성으로서, 푸른색 빛을 내뿜는 행성인데요. 18세기 한 천문학자에 의해 발견이 되었습니다. 처음에는 태양을 기준으로 꽤나 멀리 위치해서 행성이 아닌 혜성으로 오해하기도 하였습니다. 이후 과학계에서는 꾸준히 천왕성을 관측한 결과 태양 주변에 공전하는 행성임을 밝혀지게 되었습니다. 천왕성의 크기는 태양계에서 세 번째로 큰 행성으로서, 토성 크기의 반보다 약간 작으며, 지구보다는 약 4배 정도 크죠. 이러한 천왕성의 크기를 측정한 것은 20세기에 들어와서 측정하였는데요. 이는 천왕성의 움직이는 속도, 별을 관찰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천왕성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었죠. 천왕성도 다른 목성형 행성처럼 고리를 가지고 있는데요. 천왕성의 고리는 너무 가늘고 얇아 지구에서 가장 큰 천체망원경으로도 관측하기가 힘들다고 알려집니다. 천왕성의 고리는 관측 초기 7개였지만 현재는 13개로서, 매우 작은 먼지 입자들로 구성이 되어, 일정 주기마다 관측이 되는 날짜가 다르다고 과학계에서는 알려집니다. 천왕성의 대기는 다른 목성형 행성들처럼 기체로 이루어졌는데요. 다른 목성형 행성들과 기체의 성분은 비슷하게 보이지만, 성분 비에서 차이가 있다고 알려지죠. 천왕성의 대기는 주로 수소로 구성이 되며, 이외 헬륨, 메탄 순으로 주로 구성이 됩니다. 또한 과학계에 의하면 천왕성의 대기는 단순히 기체 상태가 아닌 얼음 형태로 이루기도 한다고 알려집니다. 천왕성의 자전은 다른 행성과 다르게 특이한 점이 있는데요. 천왕성의 자전의 방향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과 천왕성의 자전축이 공전 궤도면에서 약 98도 정도 기울어져 있는 점이죠. 이러한 천왕성의 자전축이 기울어진 이유로 천왕성의 적도지방보다 극지방이 더 태양 복사에너지를 받지만, 신기하게도 천왕성의 온도가 전체적으로 균일하죠. 아직까지 과학계에서는 이 부분의 이유를 찾지 못하고 있으며 현재 연구 중이기도 합니다. 천왕성의 공전은 태양계의 일곱 번째 행성인 만큼 주기가 84년으로 회전을 하는데요. 천왕성 또한 다른 행성들과 같이 태양을 주변으로 타원의 형태로 공전하고 있죠. 하지만 천왕성의 공전 속도는 다른 행성들보다 느린 편이어서 천천히 태양 주변을 공전합니다. 천왕성의 자기장은 다른 행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한 편인데요. 천왕성의 자기장 축은 천왕성의 자전축과 같이 기울어져 있는데요. 천왕성의 자전축과 같이 약 98도로 기울어진 것이 아닌 약 59도 기울어져 있죠. 천왕성의 위성은 약 27개가 발견되어 있다고 알려지는데요. 그중 대표적으로 5개 위성이 18세기 한 과학자에 의해 최초로 발견되어 현재에도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 있습니다. 오늘은 태양계 일곱 번째 행성인 천왕성에 대해 글을 써보았는데요. 푸른빛을 내뿜는 아름다운 행성 천왕성의 자전, 공전, 그리고 고리 등 여러 특징들을 알아보았는데요. 계속해서 여러분께 행성에 대한 정보와 지구과학에 대한 정보를 알릴 수 있는 블로그 구구쓰가 되겠습니다. 다음 포스팅은 태양계의 마지막 행성 해왕성에 대해 포스팅할 예정인데요. 다음 글도 기대해주세요. 감기 조심하시고, 추운 겨울 따듯하게 보내셨으면 좋겠습니다. 다음 글에서 뵐게요. 좋은 하루 보내세요.
'지구과학 > 지구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43년만의 찾아온 필리핀 화산 폭발, 탈 화산의 화산재로 인한 마닐라 공항 전면 패쇄 (0) | 2020.01.14 |
---|---|
태양계의 마지막 행성 해왕성, 해왕성의 크기, 해왕성의 고리, 해왕성의 대기, 해왕성의 표면온도, 해왕성의 자기장, 해왕성의 위성 (0) | 2020.01.12 |
태양계 두 번째 행성 금성, 금성의 밝기, 금성의 표면, 금성의 대기, 금성의 크기, 금성의 자전, 금성의 자기장 (0) | 2020.01.08 |
요즘 심해지는 미세먼지, 왜 계속 심해지는 지는 걸까? (0) | 2019.12.11 |
눈, 눈의 생성, 눈의 결정, 눈의종류, 눈의 피해, 눈의 장점 (0) | 2019.12.09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