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달의 자전
- 누질랜드 화이트 화산
- 달의 공전
- 지구의 위성 달
- 화산재 벽돌
- 필리핀 탈 화산
- 태양의 자전
- 아열대 지역
- 기아나 우주센터
- 성간천체
- 따듯한 겨울
- 오우무아무아 혜성
- 겨울
- 보리소프 혜성
- 최초 달 뒷표면 탐사
- 온실가스 상승
- 인터스텔라 혜성
- 미세먼지 관측위성
- 지구온난화
- 달 뒷 표면
- 미세먼지 농도
- 열대 지역
- 화산재 대응방법
- 해들러 순환
- 창어4호
- 자기장 역전 현상
- 눈
- 필리핀 화산폭발
- 백두산 화산활동
- 필리핀 공무원
Archives
- Today
- Total
단 2분
태양계의 마지막 행성 해왕성, 해왕성의 크기, 해왕성의 고리, 해왕성의 대기, 해왕성의 표면온도, 해왕성의 자기장, 해왕성의 위성 본문
지구과학/지구과학
태양계의 마지막 행성 해왕성, 해왕성의 크기, 해왕성의 고리, 해왕성의 대기, 해왕성의 표면온도, 해왕성의 자기장, 해왕성의 위성
구구쓰 2020. 1. 12. 23:29안녕하세요. 지구과학이 좋아 지구과학을 기록하는 블로그 구구쓰입니다. 오늘은 태양계 시리즈의 마지막으로 태양계의 마지막 행성 해왕성에 대한 글을 준비해보았습니다. 해왕성은 영어로 넵튠으로 불리어지는데요. 넵튠은 로마 신화에 나오는 바다의 신 넵투누스의 이름으로 유래가 되죠. 그리스 신화에서는 포세이돈으로 불리어지는데요. 때문에 해왕성을 주변을 공전하는 위성들을 바다의 신의 아들 트리톤, 바다의 요정 네레이스로 이름을 짓기도 하죠. 해왕성의 크기는 반지름 기준으로 태양계에서 네 번째로 크며, 질량은 세 번째로 무겁습니다. 해왕성의 크기를 지구와 비교했을 때, 행성 반지름은 약 4배정도 크고, 질량은 지구에 약 17배 정도 크다고 알려지기도 합니다. 해왕성도 마찬가지로 다른 목성형 행성들처럼 행성 고리를 가지고 있는데요. 해왕성의 고리는 5개 고리로 이루어졌다고 과학계에서는 알려지죠. 해왕성의 고리 구조는 천왕성의 고리처럼 시커먼 성분의 유기화합물로 이루어지고, 목성의 고리처럼 희미한 먼지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해왕성의 대기는 천왕성과 비슷한 성분의 기체로 이루어져 있죠. 때문에 관측된 사진을 보면 해왕성과 천왕성이 서로 비슷하게 보이기도 하죠. 하지만 해왕성의 대기는 천왕성보다 빠른 활발하게 움직이는 것을 관측이 되는데요. 해왕성의 대기가 빠른 움직임을 가지고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적도 부근과 극의 자전 속의 차이가 다른 기체로 이루어진 행성들보다 크다고 하죠. 때문에 해왕성의 대기에는 종종 대규모 폭풍지역인 대흑점과 작은 흑점들이 관측됩니다. 태양을 기준으로 해왕성의 거리는 태양에서 천왕성의 거리보다 훨씬 멀리 떨어져 있는데요. 때문에 해왕성에 도달하는 태양광의 양이 천왕성에 비해 반도 도달하지 않는다고 과학계에서 조사되었죠. 해왕성의 평균 표면온도는 영하 200도로 알려지는데요. 또한 해왕성의 표면온도와 천왕성의 표면온도는 거의 비슷하다고 알려집니다. 이러한 이유는 보이저 탐사선에 의해 얻어진 자료에 의하면 해왕성의 내부 중력 에너지 때문이라고 결론을 짓게 되었죠. 해왕성의 자기장은 보이저 탐사선이 관측한 이후에야 많이 알려졌죠. 해왕성의 자기장 축은 해왕성의 자전축에 비해 약 47도 정도 기울어져 있는데요. 이 차이는 지구에 비해 매우 크죠. 해왕성의 자기장은 표면의 위치마다 다르게 나타나며, 보통 0.1에서 0.9 Gauss로 나타납니다. 또한 해왕성의 자기장은 지구의 약 0.4배로 천왕성과 마찬가지로 해왕성의 자기장 축은 자전축에 비해 많이 기울어져 있죠. 이러한 현상의 이유로 현재 과학계에서는 조사 중이기도 합니다. 해왕성의 위성은 2018년 기준으로 14개가 발견되었는데요. 14개 모두 공식이름 붙여지기도 하죠. 14개의 위성 중 가장 크고 무거운 위성인 트리톤이 있는데요. 트리톤은 지구 주변에 도는 달의 크기와 비슷하죠. 또한 해왕성의 위성인 트리톤은 지구와 달과 같이 동주기 자전을 하고 있죠. 오늘은 바다의 신이라 불리어지는 행성 해왕성에 대해 포스팅해보았습니다. 푸른빛의 행성 해왕성의 크기부터 해왕성의 자기장까지 알아보았습니다. 태양계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행성 해왕성의 대기 운동,, 자전 운동 등 여러 특징들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해왕성 포스팅을 마지막으로 태양계의 행성들을 알아보았는데요. 다음 포스팅부터는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는 지구과학에 관련된 글을 준비해보겠습니다. 요즘 날씨 많이 추운데요. 감기조심하시고, 따듯한 연초 되시기 바랍니다.
'지구과학 > 지구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따듯한 겨울, 겨울철 이상기후로 인한 겨울폭우, 날씨가 왜 이러지? (0) | 2020.01.14 |
---|---|
43년만의 찾아온 필리핀 화산 폭발, 탈 화산의 화산재로 인한 마닐라 공항 전면 패쇄 (0) | 2020.01.14 |
태양계 일곱 번 째 행성 천왕성, 천왕성의 크기, 천왕성의 고리, 천왕성의 대기, 천왕성의 자전, 천왕성의 공전, 천왕성의 위성 (0) | 2020.01.10 |
태양계 두 번째 행성 금성, 금성의 밝기, 금성의 표면, 금성의 대기, 금성의 크기, 금성의 자전, 금성의 자기장 (0) | 2020.01.08 |
요즘 심해지는 미세먼지, 왜 계속 심해지는 지는 걸까? (0) | 2019.12.11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