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 2분

따듯한 겨울, 겨울철 이상기후로 인한 겨울폭우, 날씨가 왜 이러지? 본문

지구과학/지구과학

따듯한 겨울, 겨울철 이상기후로 인한 겨울폭우, 날씨가 왜 이러지?

구구쓰 2020. 1. 14. 21:39

 안녕하세요. 지구과학이 좋아 지구과학을 기록하는 블로그 구구쓰입니다. 최근 겨울인데도 불구하고 이상고온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데요. 이러한 이상고온 현상으로 인해 지난 7일 제주도 한 겨울 온도가 약 24도까지 올라가는 기이한 현상이 일어나기도 하였습니다. 또한 이러한 따듯한 겨울 날씨로 120mm의 겨울 폭우 내렸는데요. 그래서 오늘 이러한 따듯한 날씨, 겨울 폭우 등의 기이한 현상으로 보이는 겨울철 이상기후에 대한 글을 준비해보았습니다. 겨울철 이상기후는 이상 고온현상으로 설명할 수 있는데요. 이상고온이란 시기에 맞지 않게 기온이 다른 해 보다 유난히 높게 나타나는 현상을 말하죠. 여기서 말하는 시기란 가을철부터 봄까지 이르는 시기를 말합니다. 특히 이번 겨울철 이상고온 현상처럼 이전에 비슷한 현상들이 나타났었는데요. 1993년 순천, 1996년 울산, 2002년, 2020년 이르기까지 겨울철 이상고온 현상은 종종 발생하였죠. 기상청자료에 따르면 1993년 순천 같은 경우 2월 날씨가 낮 기온 약 21도까지 올라갔으며,1996년 울산 같은 경우 2월 낮 기온이 약 24도까지 올라기도 하였죠. 특히, 2002년 같은 경우, 1월 중순 기준으로 4~5월에나 볼 수 있을 만한 날씨를 기록하였는데요. 1월 중순에 겨울 폭우와 일부 지역 1월 최고기온 기록을 경신하기도 하였죠. 제주도 같은 경우 1월 중순 기준으로 약 21도까지 올라감으로써 5~6월 수준으로 더웠다고 하죠. 마찬가지로 얼마 전 1월 7일 제주도에서 최고기온인 약 24도를 기록하여, 1923년부터 관측해온 기상기록 이래 1월 최고기온을 경신하였다고 합니다. 최고기온뿐만 아니라, 1월임에도 불구하고 평균기온이 20도를 넘어가기도 했죠. 이러한 이상고온 현상, 겨울철 이상기후의 원인은 대한민국 남쪽에 위치한 대만 인근 해안의 해수면 기온 상승의 원인으로 꼽히는데요. 최근 47년간 우리 나주 변의 해수면 온도가 1.18도가 상승되었다고 보고가 되는데요. 이 기록은 세계 평균 해수면 상승온도 보다 3배 이상으로 많은 수치라고 합니다. 이번 이상고온 현상과 겨울철 폭우에 대해 기상청 관계자는 대한민국 남쪽에 위치한 대만 인근의 해수면의 온도가 최근 30년 평균온도보다 1도가량 높아져 해안 남쪽 인근에 강한 고기압이 분포되었다고 설명하기도 하였죠. 남쪽 해수면의 온도가 상승하여 따듯한 공기가 하늘로 상승하게 되었고, 수증기 구름이 발달하여 겨울 폭우가 내리는 현상이 나타났죠. 한편 북쪽에서 찬 공기가 내려와야 하는데, 북쪽 빙하 면적이 좁아지면서 국내로 차가운 구름을 보내는 한대제트가 약해져 따듯한 겨울철 현상이 나타났죠. 기상 전문가들은 겨울철 이상고온 현상이 현재 국내 바다 생태계와 농작물에 나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입을 모아 말하고 있습니다. 이런 이상고온현상으로 인해 현재 해수면의 온도가 상승하여 햇김 생산량이 하락하였고, 과수 화상병 등 농작물 피해가 발생하기도 하였죠. 이러한 이상고온 현상은 지구온난화 현상으로 상황이 점점 더 악화되고 있는데요. 이러한 이상고온 현상이 가속화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 여러분께 이상고온 현상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이번 포스팅을 준비하였습니다. 따듯한 겨울, 겨울 폭우로 인해 농사를 종사하시는 분들과 어업 등 모든 분들에게 좋지 않은 상황이 더 이상 이어지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지구온난화 현상은 우리가 알고, 인지해야만 하는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이번 포스팅 글통해서 독자 여러분들과 이상고온 현상과 그 원인이 무엇인지를 같이 생각하는 시간이었으면 좋겠습니다. 늘 지구과학과 연관된 글로 여러분들과 소통하는 블로그 구구쓰가 되겠습니다. 이상으로 따듯한 겨울, 겨울철 이상기후에 대한 포스팅 글을 마치겠습니다. 요즘 겨울철 미세먼지 농도가 높게 나타나는데요. 미세먼지 농도 체크하셔서 외출하시기를 추천드릴게요. 겨울철 감기 조심하시고, 좋은 하루 보내세요.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