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 2분

목성의 대기, 목성의 밀도, 목성의 모습, 목성의 대적점, 목성의 고리, 목성의 자전주기, 목성의 자기장, 목성의 위성 본문

지구과학/지구과학

목성의 대기, 목성의 밀도, 목성의 모습, 목성의 대적점, 목성의 고리, 목성의 자전주기, 목성의 자기장, 목성의 위성

구구쓰 2019. 12. 1. 20:20

안녕하세요. 별을 좋아하는 블로그 구구쓰입니다. 오늘은 태양계의 왕자라고 알려진 행성 목성에 대해 글을 써보았습니다. 목성은 태양계의 5번째 행성으로서 가장 큰 행성으로 알려집니다. 특히 목성은 질량이 큰 행성으로도 유명한데요. 목성의 질량은 태양계의 모든 행성을 합친 질량의 65퍼센트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지구질량의 318배라고 알려집니다. 또한 목성은 크기가 큰 걸로도 유명한데요. 목성의 크기는 지구의 약 11배이며, 태양계에서 가장 큰 걸로 유명하죠. 목성의 부피는 지구의 1,400배 정도 이지만, 목성의 밀도는 지구의 4등분의 하나밖에 안되죠. 부피에 비해 목성의 밀도는 매우작다고 할 수 있죠. 목성의 밀도가 작은이유는 목성을 이루는 기체가 밀도가 낮은 가스로 구성이 되어있기 때문이라고 알려집니다. 목성은 밤 하늘에 육안으로 관찰 할 수 있는걸로도 유명한데요. 천체망원경으로 밤하늘에 관찰할 수 있죠. 목성의 대기는 주로 가스인 기체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기체인 이유에서 목성의 모습은 소용돌이가 많은 모습이 자주 관찰이 되죠. 또한 목성의 모습을 보면 줄무늬가 자주 관찰이 됩니다. 이러한 줄무늬는 과학계에서 관측한 결과 색깔별로 온도가 다르다고 알려지죠. 목성의 모습을 관찰하다보면 큰 반점을 관찰 할 수 있는데, 이것은 목성의 대기에서 잘 알려진 목성의 대적점 이라고 하죠. 목성의 대적점은 목성의 소용돌이라고 불리기도 한데요. 이는 대적점 부분의 목성의 대기가 매우 역동적으로 운동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목성의 대적점은 큰 타원형 모양인데요. 이 크기는 지구랑 비교했을 때 더 크다고 알려집니다. 목성의 대적점의 대기는 반시계 방향으로 돌며 풍속은 매우 빠릅니다. 목성의 표면온도는 영하 148도로 매우 낮은 온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우리는 고리가 있는 행성을 토성이라고 많이 하죠. 하지만 목성도 아주 미미한 고리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목성의 고리가 잘 관찰이 되지 않았던 이유는 토성보다 고리가 매우 얇고 밀도가 작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과학계에서는 목성의 고리 구성성분을 알아보기 위해 관찰하였는데, 주로 먼지와 작은암석으로 이루어진 걸로 관찰 결과를 밝히기도 하였습니다. 목성의 고리는 가장 안쪽과 중간 그리고 가장 바깥쪽으로 세 부분을 나뉩니다. 목성의 고리 중간 부분이 주고리이며, 주로 큰 먼지나 돌들이 존재합니다. 고리의 가장 바깥쪽, 안쪽은 뿌연 형태로 존재한다고 알려집니다. 목성은 태양계에서 가장 빠른 자전을 하고 있는 행성으로 알려지는데요. 빠른 자전주기 덕분에 목성의 모습은 적도부근이 볼록한 타원체로 볼 수 있습니다. 태양계에서 목성의 크기는 매우 큰 행성이기 때문에 극지방 부근과 적도부근의 자전주기가 서로 다르다고 알려집니다. 즉, 적도부근의 목성의 자전주기가 가장 짧으며 위도가 올라 갈 수록 자전주기가 길어지죠. 목성의 자기장은 강력하다고 과학계에서는 알려집니다. 지구의 자기장은 철과 같은 녹은 금속성분의 영향이 크다면, 목성의 자기장은 목성 내부에 액체 금속성분의 영향이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지구와 같이 목성의 자기장에 의해 오로라현상을 관찰 할 수 있다고 하죠. 목성의 주변에는 수많은 위성들이 돌고 있다고 알려집니다. 이러한 이유에서 목성을 작은 태양계라고 과학계에선 많이 이야기 하죠. 많은 목성의 위성 중 과학자 갈릴레이가 발견한 4개위 위성이 있는데, 이들은 훗날 독일의 한 과학자에 의해 이름을 각각 이오, 유로파, 가니메데, 칼리스토 라고 불러지게 됩니다. 지금까지 태양계의 가장 큰 왕자 목성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보았는데요. 이번 포스팅을 통해 목성의 아름다운 겉 모습안에 내부에는 매우 유동적인 운동을 하고 있는 목성의 모습을 알 수 있었습니다. 목성을 알면 알 수록 신기하며 거대한 행성인 거 같습니다. 목성에 좀 더 알아가고 친숙해졌으면 하는 바램에 이번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밖에는 지금 축축하게 비가오네요. 내일부터 날씨가 추워질거같으니, 다들 감기 조심하시고 따듯한 연말보내세요!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