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누질랜드 화이트 화산
- 백두산 화산활동
- 달의 공전
- 열대 지역
- 미세먼지 관측위성
- 달의 자전
- 필리핀 화산폭발
- 인터스텔라 혜성
- 보리소프 혜성
- 해들러 순환
- 최초 달 뒷표면 탐사
- 지구의 위성 달
- 미세먼지 농도
- 필리핀 탈 화산
- 달 뒷 표면
- 따듯한 겨울
- 눈
- 성간천체
- 아열대 지역
- 화산재 벽돌
- 오우무아무아 혜성
- 태양의 자전
- 자기장 역전 현상
- 지구온난화
- 온실가스 상승
- 겨울
- 화산재 대응방법
- 기아나 우주센터
- 창어4호
- 필리핀 공무원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24)
단 2분
안녕하세요. 지구과학이 좋아 지구과학을 기록하는 블로그 구구쓰입니다. 얼마 전 미국에 한 학교 체육관에서 아주 강한 돌풍이 몰아쳐 체육관 한쪽 벽면이 날아간 사건이 있었습니다. 오늘은 그 체육관의 벽면을 강타한 강한 돌풍, 순간 돌풍에 대한 글을 준비하였습니다. 순간 돌풍은 갑작스럽게 바람의 세기나 방향이 바뀌는 현상을 말합니다. 영어로는 윈드 시어라는 표현을 쓰고, 난기류의 일종이라고 알려집니다. 다른 한국어 표현으로는 전단풍 또는 풍속 수직 비틀림이라고 불리어지며 바람시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순간 돌풍은 거의 모든 고도에서 발생이 가능합니다. 돌풍의 가장 위험한 구간은 항공기가 이착륙하는 순간이라고 기상전문가들은 말합니다. 순간 돌풍의 원인으로 총 다섯 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 원인으로 뇌우 구름..
안녕하세요. 지구과학이 좋아 지구과학을 기록하는 블로그 구구쓰입니다. 오늘은 인류 역사상 최악의 산불로 기록되고 있는 호주 산불에 대한 글을 준비해 보았습니다. 먼저, 글을 쓰기에 앞서 하루빨리 산불이 잡히기를 빌고, 호주 야생동물과 호주 시민들이 더 이상 다치지 않기를 원합니다. 오늘은 인류 역사상 최악의 산불로 기록한 호주 산불에 대한 포스팅을 준비하였는데요. 호주 산불로 인해 호주는 현재 서울 면적의 100배가 넘는 면적이 불에 탔고, 이러한 산불로 인해서 시드니의 공기 상태는 매우 안 좋은 상태로 매일 37개비 정도의 담배를 피우는 것과 맞먹는 정도로 악화한 상태라고 전해집니다. 또한 이러한 호주 산불로 인해 호주에서 서식하는 동물 코알라, 두 나트 등 야생동물들이 약 13억여 마리가 산불로 인해..
안녕하세요. 지구과학이 좋아 지구과학을 기록하는 블로그 구구쓰입니다. 최근 겨울인데도 불구하고 이상고온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데요. 이러한 이상고온 현상으로 인해 지난 7일 제주도 한 겨울 온도가 약 24도까지 올라가는 기이한 현상이 일어나기도 하였습니다. 또한 이러한 따듯한 겨울 날씨로 120mm의 겨울 폭우 내렸는데요. 그래서 오늘 이러한 따듯한 날씨, 겨울 폭우 등의 기이한 현상으로 보이는 겨울철 이상기후에 대한 글을 준비해보았습니다. 겨울철 이상기후는 이상 고온현상으로 설명할 수 있는데요. 이상고온이란 시기에 맞지 않게 기온이 다른 해 보다 유난히 높게 나타나는 현상을 말하죠. 여기서 말하는 시기란 가을철부터 봄까지 이르는 시기를 말합니다. 특히 이번 겨울철 이상고온 현상처럼 이전에 비슷한 현상들이..
안녕하세요. 지구과학이 좋아 지구과학을 기록하는 블로그 구구쓰입니다. 지난 12일 저녁에 있었던 필리핀 화산 폭발 소식을 접하게 되었는데요. 먼저, 포스팅 글을 쓰기에 앞서 이번 필리핀 화산 폭발로 인해 많은 인명피해가 없기를 빌겠습니다. 이번 필리핀 화산 폭발은 수도 마닐라로부터 남쪽으로 약 55km 떨어진 섬 바탕가스의 탈 분화구에서 폭발하였습니다. 화산 폭발로 인해 뜨거운 용암이 분출하였고, 필리핀 상공은 검은 화산재로 뒤덮여 현재는 필리핀 마닐라 국제공항으로 오가는 많은 항공편이 전면 폐쇄되었다고 알려집니다. 오늘은 필리핀 화산 폭발의 발생한 곳인 탈 분화구에 대한 글과 탈 분화구가 활화산으로서의 활발히 화산활동을 하게 만든 환태평양 조산대에 대한 글을 준비해보았습니다. 이번 필리핀 화산 폭발은 ..
안녕하세요. 지구과학이 좋아 지구과학을 기록하는 블로그 구구쓰입니다. 오늘은 태양계 시리즈의 마지막으로 태양계의 마지막 행성 해왕성에 대한 글을 준비해보았습니다. 해왕성은 영어로 넵튠으로 불리어지는데요. 넵튠은 로마 신화에 나오는 바다의 신 넵투누스의 이름으로 유래가 되죠. 그리스 신화에서는 포세이돈으로 불리어지는데요. 때문에 해왕성을 주변을 공전하는 위성들을 바다의 신의 아들 트리톤, 바다의 요정 네레이스로 이름을 짓기도 하죠. 해왕성의 크기는 반지름 기준으로 태양계에서 네 번째로 크며, 질량은 세 번째로 무겁습니다. 해왕성의 크기를 지구와 비교했을 때, 행성 반지름은 약 4배정도 크고, 질량은 지구에 약 17배 정도 크다고 알려지기도 합니다. 해왕성도 마찬가지로 다른 목성형 행성들처럼 행성 고리를 가..
안녕하세요. 지구과학이 좋아 지구과학을 기록하는 블로그 구구쓰입니다. 오늘은 지난 포스팅에서 언급했던 태양계의 일곱 번째 행성 천왕성에 대한 글을 준비해보았습니다. 천왕성은 토성의 궤도 밖 바로 토성 다음 행성으로서, 푸른색 빛을 내뿜는 행성인데요. 18세기 한 천문학자에 의해 발견이 되었습니다. 처음에는 태양을 기준으로 꽤나 멀리 위치해서 행성이 아닌 혜성으로 오해하기도 하였습니다. 이후 과학계에서는 꾸준히 천왕성을 관측한 결과 태양 주변에 공전하는 행성임을 밝혀지게 되었습니다. 천왕성의 크기는 태양계에서 세 번째로 큰 행성으로서, 토성 크기의 반보다 약간 작으며, 지구보다는 약 4배 정도 크죠. 이러한 천왕성의 크기를 측정한 것은 20세기에 들어와서 측정하였는데요. 이는 천왕성의 움직이는 속도, 별을..
안녕하세요. 지구과학이 좋아 지구과학을 기록하는 블로그 구구쓰입니다. 오랜만에 다시 인사드립니다. 그동안 연말 행사와 개인적인 사정으로 포스팅을 지속적으로 못했었는데요. 현재 마무리가 잘 되어서 다시 포스팅합니다. 오늘은 오랜만에 초심으로 돌아가서 첫 포스팅을 시작하였던 태양계 시리즈로 다시 글을 써볼 까 합니다. 오늘은 태양계 두 번째 행성인 비너스, 금성을 포스팅하겠습니다. 금성은 그리스 로마 신화의 미의 여신인 비너스로 주로 불리어지는데요. 이는 금성의 밝기가 밝고 아름다워 고대 그리스에서 불리어졌다고 알려집니다. 또한 이러한 금성의 밝기로 대한민국에서는 샛별이라고 불리어지는데요. 이는 새벽 동쪽 하늘에서 보여 불리어진다고 알려집니다. 실제 금성의 밝기는 매우 밝은 걸로 알려지는데요. 밤이 아닌 대..
안녕하세요. 지구과학이 좋아 지구과학을 기록하는 블로그 구구쓰입니다. 요즘 추위는 좀 없어진 거 같은데, 다시 미세먼지가 심해지고 있네요. 추운 겨울인데도 계속해서 심해지는 미세먼지, 이 미세먼지를 알아보기 위해 구구쓰가 미세먼지 관련 글을 준비해보았습니다. 미세먼지는 매우 작은 입자의 크기를 가지고 있는 먼지를 말하는데요. 그 크기는 사람의 머리카락의 지름보다 작으며, 가장 작은 미세먼지의 크기는 머리카락의 30배 정도 작은 크기라고 알려지죠. 이처럼 미세먼지는 매우 작고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공기 중에 머물러 있어 사람의 코나 입을 통해 몸 안에 들어와, 폐에 들어가거나 혈관을 통해 체내 어디든 이동하여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치죠. 이러한 영향 때문에 세계 보건기구 산하 국제암연구소에서는 미세먼지..